728x90

분류 전체보기 162

[Java] 조건문 - if / else if / else 문 + 예외처리

조건문 주어진 조건이 참이냐 거짓이냐에 따라 다른 명령을 처리하도록 만든 수행문이다. 프로그램의 가장 기본이 되는 코드이며, 조건문만 사용해도 웬만한 프로그램의 로직을 구현해낼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건문 중에서 if문에 대해 알아보자. if '만약 ~ 한다면' 이라는 의미를 갖고있는 if 라는 단어로 조건문을 실행할 수 있다. 문법은 다음과 같다. if ( 조건식 ) { 조건식에 해당할 시, 실행할 내용 } int타입 변수 a에 5를 대입하였고, a가 5와 같다는 조건식의 내용이 실행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else if else 는 '또 다른' 이라는 의미로, if 에 해당하지 않는 그 외의 경우에 해당한다. if의 조건식에 해당하지 않아서, else if 조건으로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Java (자바) 2022.04.17

[Java] 자바 연산자 - 연산자의 종류와 활용법

연산이란? (Operation) 수, 함수 등에서 일정한 법칙에 따라 결과를 내는 행위이다. 연산에 사용되는 표시나 기호를 연산자(operator)라고 한다. 연산되는 데이터는 피연산자(operand)라고 한다. 연산자도 공부할 내용이 많다보니 잘 이해하고 싶다면,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명확히 구분하여 기억하는게 좋다. 다양한 연산자 중에서, 아래 5가지 연산자에 대해 포스팅하겠다. -산술연산자, 증감연산자, 비교연산자, 대입연산자, 논리연산자- 산술연산자 가장 기본적인 연산자로, 흔히 알고 있는 사칙연산(+,-,*,/)을 생각하면 쉽다. 하지만 저 사칙연산을 제외하고도 %연산자가 존재한다. (사칙연산은 정말 기본적이므로, 따로 포스팅하지 않겠다) %연산자는 나눗셈을 하고 남은 나머지 값을 반환해준다. 1..

Java (자바) 2022.04.14

[Java] 자바 스캐너 (Scanner) - 콘솔창에 텍스트 입력

이전 글에서, 자바 출력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콘솔창에 출력하는 방법을 배워보았다. 이번에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자바에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은 종류가 다양한데, 그 중 가장 대표적으로 쓰이는 방법은 Scanner 클래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먼저, 스캐너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java.util 패키지에서 Scanner 클래스를 import 해주어야 한다. (import = 불러오다) 공부를 계속 하다보면, 더욱 많은 기능을 사용해 볼 것이므로 import를 사용할 일이 점차 많아질 것이다. import 코드는 제일 상단에 작성한다. 이제, 스캐너를 사용하기 위해서 스캐너의 객체를 만들어줘야 한다.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클래스이름 객체이름 ..

Java (자바) 2022.04.14

[Java] 자바 주석 사용하기

우리는 외국어로 코드를 작성한다. 작성한 코드의 양 또한 방대해질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내가 작성한 코드는 나만의 코드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주석을 사용해야 한다. 주석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이점은 생각보다 훨씬 많다. - 처음 접하는 내용을 메모해가며 공부할 수 있어서, 이제 막 코딩에 입문한 초보자들에게 큰 도움을 준다. - 코드의 양이 많아졌을 때에도, 영향 범위 등을 구분하여 깔끔하게 정리해줄 수 있다. - 본인이 코드내에서 직접 정의한 변수, 메서드, 클래스 등 본인만의 스타일이 담긴 코드를 다른 사람들이 보더라도, 보다 쉽게 이해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 코드를 활성화 / 비활성화할 때에도 사용하기 간편하다. 주석 사용하는 방법 : // (슬래시 2개) 코드를 뜻풀이 하는 느낌으로 주석을..

Java (자바) 2022.04.14

[Java] 자바 출력문 print / println ( + 줄바꿈 \n,\r,\r\n )

우리는 workspace에 온갖 코드를 열심히 적는다. 그리고 그 코드중에는, 내부적으로 열심히 일만 하는 녀석도 있고, 외부에 보여져야 하는 내용을 담은 녀석도 있다. (어떻게보면 나중에 알게될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느낌이 일부 담겨있다.) 우리는 외부적으로 표현되어야할 내용(값, 데이터 등)을 출력해야 한다. 그리하여, 자바의 출력문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겠다.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출력문은 다음과 같다.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 System.out.printf(); -> 가볍게 이해하기엔 내용이 비교적 무거운 편이다. 추후 단독게시글로 작성할 것. 이 출력문들은, 우리가 workspace에 열심히 작성한 내용을 콘솔창에 내보내준다. 위 소괄호() 안에..

Java (자바) 2022.04.14

자바의 자료형 - 문자형과 문자열 의문점

지난 글에서 공부했던 문자형과 문자열에 대해 궁금증이 생기는 부분을 더 알아보자. 문자형 자료형 char는 문자를 사용하는데, 범위는 왜 숫자로 나와있을까? 문자형 자료형의 범위에 나와있는 숫자 (0~65,535)는 '유니코드'의 범위이다. 유니코드란?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다루도록 설계된 표준 문자 전산 처리 방식으로 정의한다. 모든 문자를, 정해진 2byte로 표현할 수 있는 숫자로 변환한다. 여기서 말하는 숫자는 '각각의 문자가 정해진 코드값' 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문자형 char의 값에 숫자를 입력하면 그 숫자에 해당하는 (숫자에 지정되어 있는) 유니코드 문자가 출력된다. (65번은 알파벳 A, 33번은 ! 라고 확인할 수 있다.) 문자형과 문자열을 사용할 때, '..

Java (자바) 2022.01.31

자바의 자료형 - 논리형과 문자형, 문자열

지난 글에서는 정수형과 실수형에 대해 공부해 보았다. 이번에는 자바의 자료형 중 논리형과 문자형, 그리고 문자열에 대해 알아보자. 기본형 자료형 - 논리형 논리형 자료형은 모두 boolean으로 사용한다. true와 false, 말 그대로 참과 거짓이다. 0과 1의 개념만을 사용하기에 용량은 1byte만을 차지한다. 놀랍게도 true가 0이고 false가 1이다. boolean이라는 데이터 타입만으로는 별 다른 효용성이 없다. 하지만, 나중에 공부하게 될 조건문과 반복문을 만날 때, 큰 효용성을 보인다. 기본형 자료형 - 문자형 문자형 자료형은 모두 char로 사용한다. "차" 라고 읽는 사람도 일부 있지만, character, 즉 "캐릭터" 가 맞는 표현이다. char를 사용할 때는 '' (작은따옴표)..

Java (자바) 2022.01.31

자바의 자료형 - 정수형, 실수형 의문점

지난 글에서 공부했던 자료형 중, 정수형과 실수형 자료형에 대해 궁금증이 생기는 부분을 더 알아보자. 1. 정수형 자료형의 범위들은 왜 양수가 1씩 적을까? 범위 안에 0이 포함되어 있다. 때문에 양수에서 1씩 뺐다고 볼 수 있다. 2. 실수형 자료형의 범위에 적혀있는 E는 뭘까? 10의 몇 승 인지를 요약하여 나타내준다. 예를 들어, E38은 10의 38승으로 계산한다. 3. 만약 long의 범위를 벗어나는 정수를 사용해야 한다면 어떻게 할까? (int는 약 21억, long은 약 920경 까지) 920경을 넘어가는 정수를 완전한 정수형 자료형만으로 표현하기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표현하는 방법이 아예 없지는 않다. 문자열을 사용하여, 실수형 자료형에 표기한대로 E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방치형 모바일 ..

Java (자바) 2022.01.3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