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형 2

자바의 자료형 - 정수형, 실수형 의문점

지난 글에서 공부했던 자료형 중, 정수형과 실수형 자료형에 대해 궁금증이 생기는 부분을 더 알아보자. 1. 정수형 자료형의 범위들은 왜 양수가 1씩 적을까? 범위 안에 0이 포함되어 있다. 때문에 양수에서 1씩 뺐다고 볼 수 있다. 2. 실수형 자료형의 범위에 적혀있는 E는 뭘까? 10의 몇 승 인지를 요약하여 나타내준다. 예를 들어, E38은 10의 38승으로 계산한다. 3. 만약 long의 범위를 벗어나는 정수를 사용해야 한다면 어떻게 할까? (int는 약 21억, long은 약 920경 까지) 920경을 넘어가는 정수를 완전한 정수형 자료형만으로 표현하기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표현하는 방법이 아예 없지는 않다. 문자열을 사용하여, 실수형 자료형에 표기한대로 E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방치형 모바일 ..

Java (자바) 2022.01.31

자바의 자료형 - 정수형, 실수형

자바의 기본형 자료형을 표로 정리해 보았다. 그 중에서 정수형과 실수형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이전 글에서 메모리에 대해 알아본 이유는, 위 표에서 보이다시피 각 자료형마다 byte 단위의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메모리의 용량에 대한 제약이 심했기 때문에 범위에 맞는 자료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했다고 한다. 하지만 요즘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워낙 커다란 용량의 램이 보급되기 때문에 코드를 짤 때 메모리의 용량에 대한 제약을 심하게 받지 않는 편이다. 그리하여 현재의 자바 프로그램에서는 기본적으로 모든 정수형 자료형을 int로 인식한다. 같은 이유로, 모든 실수형 자료형은 double로 인식한다. 따라서 우리가 long을 사용할 때, int의 범위값을 벗어난다면 값 뒤에 l을 붙여줘야..

Java (자바) 2022.01.31